‘미키 17’로 돌아온 봉준호, 모든 것이 애매해 [씨네뷰] |
2025. 02.28(금) 08:00 |
|
![]() |
미키 17 |
[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기자] 거장의 귀환에 너무 기대가 높았던 탓일까. 아니면 SF 장르에 대한 호불호일까. 모든 것이 애매한,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다. 거액의 빚을 진 미키(로버트 패틴슨)는 사채업자를 피해 지구를 떠나 익스펜더블(위험한 일에 투입되는 소모품)이 된다. 익스펜더블이 된 미키는 정치인 마샬(마크 러팔로)의 니플하임 개척 과정에서 온갖 위험한 일을 도맡으며 반복되는 죽음과 출력을 반복해서 겪고, 점차 그 상황에 무뎌진다. 그러던 중 니플하임에서 크리퍼를 만나 죽을 위기를 겪고 돌아온 미키 17은 이미 프린트 돼 있는 미키 18과 마주치면서 멀티플 상황에 놓인다. 미키 17과 미키 18은 어떤 결말을 맞이할까. 28일 개봉되는 영화 ‘미키 17’(감독 봉준호)은 봉준호 감독이 영화 ‘기생충’ 이후 약 6년 만에 공개하는 신작인 만큼, 제작 단계부터 화제가 됐다. 로버트 패틴슨부터 나오미 애키, 마크 러팔로, 스티븐 연, 토니 콜랫 등 미국 연기파 배우들이 봉준호 감독의 새로운 ‘미키 17’ 세계관을 함께 완성했다. 우선 ‘미키 17’은 ‘기생충’만큼의 완성도와 스토리텔링을 기대했더라면 실망할 요소들이 다수 있다. 먼저 초반에 세계관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어 다소 전개가 늘어지는 부분이 있다. 이는 초반부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더군다나 그렇게 공들여 설명한 세계관이 그다지 흥미롭고 매력적이지 않다는 것도 아쉬움을 자아낸다. 휴먼 프린팅 말고는 이미 여타 SF 작품에서 많이 봐왔던 세계관과 크게 다른 것이 없다. 사실 영화는 러닝타임 절반이 넘어서기 전까지 별다른 사건이 없다. 그만큼 캐릭터와 세계관 설명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긴장감이 떨어지면서 몰입도도 함께 저하된다. 초반부부터 관객을 영화에 무섭도록 끌어들였던 봉준호 감독의 전작과 비교하면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영화는 미키의 멀티플, 즉 미키 17과 18의 공존이라는 중요한 변곡점을 맞는다. 멀티플이란 행성 당 1명만 허용된 익스펜터블이 둘이 되는 상황을 일컫는 말로, 발각될 시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삭제’되어야 할 정도로 중차대한 일로 그려진다. 그러나 이 멀티플마저도 강렬한 인상을 주지 못한다. 멀티플이 발각되기까지의 과정에서 긴장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멀티플이 마치 큰 문제인 것처럼 묘사된 것과는 다른 양상에 다소 김이 빠지는 것도 아쉽다.
봉준호 감독은 마샬 부부와 외계 생물인 크리퍼의 대비를 통한 현 사회의 풍자에 더 집중한 모양새다. 모두를 위해 미키 한 명만 희생시키겠다는 마샬 부부와 한 명을 구하기 위해 전체 구성원이 나서는 크리퍼의 대비를 통해 계급 갈등과 현대 사회에 만연한 혐오, 인간의 존엄성 등 다양한 층위의 사회적 메시지를 전한다. 그러나 마샬 부부에 대한 묘사는 너무 노골적이고 한편으로는 과장돼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노골적이고 과장된 톤이 마샬 부부의 끔찍한 독재를 희석시키고, 결국 영화의 메시지도 같이 희미해진다. 봉준호 감독의 무기인 위트도 이번 작품에서도 그다지 위력을 발휘하지 못한 모양새다. 끊임없이 위트를 넣어 웃음을 노린 흔적이 가득하지만, 웃음이 나오지 않는다. 너무 고차원의 위트라 이해를 못 해서 웃지 못하는 걸 수도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봉준호 감독이 전작에서 보여준 빛나는 위트에는 미치지 못한다. 필모그래피 사상 처음으로 미키와 나샤(나오미 아키)를 통해 멜로 요소에 도전했지만 크게 와닿지는 않는다. 봉준호 감독이 원작에서 꼭 가져오고 싶었고, 스크린에 잘 구현하고 싶었다는 나샤의 사랑은 봉준호 감독의 설명을 듣고 봐야 이해가 가능하다. 이렇듯 ‘미키 17’은 SF든 블랙코미디든 어느 관점에서 봐도 애매하다. 무엇보다 SF 장르적 재미를 기대하고 본다면 높은 확률로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100% 블랙코미디를 기대하고 봐도 확률은 반반이다. 이 애매함이 ‘미키 17’의 큰 호불호 포인트다. 다만 영화를 이루는 요소들이 취향의 영역이라는 것이지,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라고는 볼 수 없다. 영화관에서 보길 추천한다. 니플하임의 전경이나 후반부 크리퍼들의 시위 등 큰 화면과 사운드로 즐겨야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을 터다. [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기자 news@tvdaily.co.kr/사진=영화 '미키 17'] |
기사제보 news@tvdaily.co.kr 최하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