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살려준 작품"…25년 만에 다시 만난 '공동경비구역 JSA'의 의미 [TD현장 종합] |
2025. 02.04(화) 22:15 |
|
![]() |
공동경비구역 JSA |
[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기자] ‘공동경비구역 JSA’ 주역이 25년 만에 다시 모여 영화의 의미를 되돌아봤다. 4일 저녁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된 CJ ENM 30주년 기념 비저너리(Visionary) 선정작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감독 박찬욱) 특별 GV에서는 박찬욱 감독과 고경범 CJ ENM 영화사업부장을 비롯해 출연 배우 송강호 이병헌 이영애 김태우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올해 CJ ENM 비저너리로 선정된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는 분단 현실을 인간적인 시선으로 풀어내 남북 관계에 대한 대중 인식 변화에 기여, 한국 영화사의 전환점으로 평가받았다. 지난 2000년 개봉 후 25년 만에 박찬욱 감독과 한국을 대표하는 배우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날 GV는 CGV용산아이파크 박찬욱관에서 열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김세윤 작가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박찬욱관 외 2개 관에서 동시 생중계됐다. 이날 고경범 사업부장은 ‘공동경비구역 JSA’를 비저너리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2020년부터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독보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전을 제시한 분들을 비저너리로 선정했었다. 올해에는 CJ ENM 30주년을 맞이해서 20편의 작품을 선정하기로 했고, 첫 번째 작품이 ‘공동경비구역 JSA’다”라면서 “이 작품은 감독님의 예술적 비전과 동시에 상업적인 확장성을 갖는 첫 번째 영화였다. 그런 영화들을 보고 자란 세대들이 여러 장르에서 활약을 하면서 지금의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만들지 않았나 싶다. 그런 이유로 비저너리로 선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공동경비구역 JSA'를 시작으로 박찬욱 감독은 CJ ENM과 25년 동안 10편의 영화를 함께 만들며, 함께 성장해 왔다. 이에 대해 박찬욱 감독은 "한국에서 영화 산업이 급변하고 있지 않나. 미국과 비교하면 스튜디오의 힘이 점점 커지는 과정 중에 있다. 적어도 제가 느끼기에는 CJ ENM이 저에게 받아들일 수 없는 무리한 요구를 한 적이 없다. 흥행이 잘 될 때도 있고 아닐 때도 있지만 변함없이 지원을 해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영애는 “여러분 덕분에 25년 만에 완전체가 된 것은 처음이어서 사실 떨리고 부끄럽기도 했다. 막상 모여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니까 너무 편안하다”고 소감을 말했다. 박찬욱 감독은 “하나의 개인으로서 받는 상도 영광스럽지만 이렇게 작품으로 받게 돼서 좋은 점은 참여한 배우들과 함께 모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배우들 뿐만 아니라 참여했던 스태프 분들도 모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셔서 고마운 마음을 갖고 있다”고 했다. 송강호는 “영화 한 편을 다시 모여서 본다기보다는 사실은 이런 기회가 과연 또 올까라는 생각을 했다.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다시 모여 스크린을 통해서 같이 느낄 수 있는 이런 기회가 너무 소중하고 감사한 일이다”라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은 ‘공동경비구역 JSA’를 제작한 계기에 대해 “영화를 만들어지던 90년대 후반에 국가 보안법이 지금 보다 더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 해석이 가능한 법 저항을 받던 시기였다. 북한군과 민간인도 아닌 군인과의 우정을 다루고 있다면 뭐든지 걸려면 걸 수 있는 시기였다. 마음을 단단히 먹고 시작하자고 했다. 싱겁게도 영화가 개봉할 때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방북을 하면서 제 걱정이 쓸데없는 걱정이 됐다”라고 말했다. 김태우는 ‘공동경비구역 JSA’에 함께 한 이유에 대해 “지금 같았으면 감독님 때문에 했을 텐데 그 당시에는 시나리오 때문에 하게 됐다. 저는 우연히 이 시나리오를 보게 됐다. 너무 하고 싶어서 했다. 개봉하기 전에 기술 시사에서 보고 좋은 영화에 출연하게 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저에게는 너무 천운 같은 작품이다”라고 했다. 이어 이병헌은 “감독님에 대한 기대감은 솔직하게 그 당시에 없었다. 몇 년 전에 미국의 큰 행사에서 공로상 시상자로 올라갔고, 감독님이 수상자였다. 그때 짧은 스피치를 했었는데 ‘두 개의 작품을 완벽하게 망하신 분과 이미 세 개의 작품을 완벽하게 말아먹은 저라는 배우와 만나게 됐을 때 이것 보다 더 좋은 조합이 있었을까라는 말을 농담처럼 꺼냈다. 영화를 시사회에서 처음 보고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 너무나 감동을 했었던 25년 전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게 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병헌은 “저에게 흥행 배우라는 수식어를 처음 안겨줬던 의미 있는 영화다”라고 ‘공동경비구역 JSA’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박찬욱 감독은 “첫 번째 실패했는데 두 번째 하기가 힘들고, 두 번째도 실패했는데 세 번째 기회를 얻는 것 자체가 매우 드문 일인데 이렇게 좋은 작품을 만났다. 또 프로덕션의 전폭적인 지원을 얻고, 좋은 배우들을 만나 일했으니 정말 기적 같고 저를 살려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공동경비구역 JSA’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영애는 “20대 말에 이 영화를 만나서 30대에 좋은 드라마와 영화를 할 수 있었고, 박 감독님과 다시 만나 영화 ‘친절한 금자 씨’를 할 수 있었다. 저의 30대의 관문을 열어준 영화라고 할 수 있다”라고 했다. 이병헌은 “외국에 가서 저를 설명할 때 가장 먼저 이야기하게 되는 대표작이다. 여전히 젊은 한국 영화 마니아들은 ‘공동경비구역 JSA’를 빼놓고 이야기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손꼽는 작품으로 저를 설명하기 좋았다”라고 ‘공동경비구역 JSA’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했다. 송강호는 “30년이라는 시간 동안 배우를 하고 있는데 ‘공동경비구역 JSA’는 저의 첫 번째 화양연화였다. 그 중심에 ‘공동경비구역 JSA’가 있지 않았나 싶다. 지금은 감독님과 20년째 작품을 못하고 있지만 인생의 훌륭한 선배이자 거장 감독과 한 시대를 같이 호흡하면서 오는 계기가 된 작품이다. 또 이병헌 이영애 김태우 신하균 등 너무 사랑하는 배우 분들과의 첫 만남이기도 하다. 수많은 일들을 겪으면서 배우 생활을 하는데 가장 그리워할 만한 화양연화가 아니었나 싶다”면서 ‘공동경비구역 JSA’에 대해 이야기했다. CJ ENM은 지난 2020년부터 방송, 영화, 음악, 예능 등 한국 대중문화 전 분야에서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를 토대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대체 불가의 인물들을 '비저너리(Visionary)'로 선정해 왔다. 올해는 30주년을 기념하며 업계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던 ‘비저너리 선정작’을 조명했으며 영화 부문에서는 ‘공동경비구역 JSA’가 이름을 올렸다. [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기자 news@tvdaily.co.kr/사진=DB] |
기사제보 news@tvdaily.co.kr 최하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