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브이데일리 김지하 기자] 한국매니지먼트연합(한매연), 한국연예제작자협회(연제협),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음레협), 한국음반산업협회(음산협), 한국음악콘텐츠협회(음콘협) 등 5개 음악 단체가 ‘무시해’ 발언으로 촉발된 ‘뉴진스 하니법’ 개정안 발의의 공평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매연, 연제협, 음레협, 음산협, 음콘협 등은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반포 JW메리어트호텔 서울 3층, 살롱1+2+3에서 ‘렛츠 킵 어 프로미스(Let’s keep a promis) : 음반제작자가 없다면 K-팝도 없다’란 타이틀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앞서 5개 음악단체는 최근 K팝 산업계를 위기로 몰아가는 주요 갈등 원인인 ‘탬퍼링’에 대한 호소문을 배포했다.
이를 통해 대중문화예술산업의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일부 기획사와 아티스트들에게는 근거 없는 여론몰이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관철하려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국회와 정부에는 주요 갈등 원인이 되는 ‘탬퍼링’ 근절을 위한 정책 지원을 진행해 줄 것을 호소했다.
특히 그룹 뉴진스의 일방적 계약해지 통보 및 독자 활동 논란으로 불거진 K팝 전속계약의 위기를 짚어 불편을 드러냈다. “소속사와 계약이 적법하게 해지되지 않은 채 독자적 활동을 하고 있는 뉴진스의 경우, 최근 새로운 활동명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에이전트가 있다’고 공공연하게 발표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라며 “계약이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일방의 선언으로 파기된다면 K팝 산업은 존속의 기반을 잃게 될 것”이라고 봤다.
이날도 뉴진스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음콘협 최광호 사무총장은 발제를 하며 하니의 ‘무시해’ 발언을 들었단 주장에서 촉발된 하이브 산하 레이블 매니저와 하니의 갈등에 대해 언급했다.
최 사무총장은 “가수는 들었다며 사과하라고 하고 매니저는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라는 엇갈린 주장을 펼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진 뉴진스 하니법. 대중문화산업법 일부 개정안 발의가 있었다”라고 운을 뗀 후 “진실은 아직 모른다. 어느 한편에 서서 누구 잘못인지 주장하고 싶지도 않다”라고 했다.
다만 해당 매니저와 가수 모두 “음악이란 이름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위치에 있다”라면서 “유명무죄 무명유죄. 높은 인지도와 팬덤을 가졌다고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법원의 판단 전에 기정사실화되는 게 공평한지 자문해야 한다”라고 짚었다.
최 사무총장은 또한 “유명 가수의 주장을 들어볼 기회가 있었다면 당사자인 이름 모를 매니저의 의견도 들어야 했다. 일부 팬덤을 중심으로 기획사 직원을 해고하라는 징계 요구 시위가 강해지고 있다. 소속사 직원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공개되고 가족을 대상으로 한 악플, 사이버 테러 행위가 멈추지 않고 있다”라며 “기획사 임직원의 인권은 누가 지켜주나. 직장 내 괴롭힘을 살펴주면 가수와 대립한다는 이유로 무차별적인 인신공격을 감내해야 하는 기획사 직원의 인권을 지켜줘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가수가 예고 없이 떠나면 실직을 하고 미래에 대한 현실적 고민을 해야하는 수많은 직원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며 “이 사회에서 누가 진정한 사회적 약자인지, 사회적 약자를 위해 경청할 준비가 됐는지 돌아봐야 한다. 배려와 존중을 돌아보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티브이데일리 김지하 기자 news@tvdaily.co.kr/사진=송선미 기자] |